진안군·무주군·장수군 (197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선거구와 장수군·무주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최성석, 무소속 김광수가 당선되었고,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광수, 신민당 최성석이 당선되었다.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황인성, 민주한국당 오상현이 당선되었으며,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전병우, 한국국민당 김광수가 당선되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시행되면서 1인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수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수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장수군의회는 장수군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로, 가/나 선거구에서 각각 3명씩, 비례대표 1명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5석, 무소속이 2석을 차지했다. - 장수군의 정치 - 장수군 (선거구)
1948년 신설된 장수군 선거구는 장수군 전 지역을 관할하며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나, 1963년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무주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무주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주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주군의회는 가선거구와 나선거구에서 각 3명의 군의원을 선출하고 비례대표로 문은영(더불어민주당)이 당선되어, 더불어민주당이 5석, 무소속이 2석을 차지했다. - 무주군의 정치 - 무주군 (선거구)
무주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폐지되었으며, 총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신현돈을 포함한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 진안군의 정치 - 진안군수 선거
진안군수 선거는 진안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1995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정당 소속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고, 임수진, 송영선, 이항로, 전춘성이 군수를 역임했다. - 진안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안군의회
2018년 지방선거의 일환으로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진안군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가, 나 선거구에서 각 3명씩 선출하고 비례대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어, 더불어민주당이 총 5석, 무소속이 2석을 차지했다.
진안군·무주군·장수군 (197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진안군·무주군·장수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북도 |
연도 | 1973년 |
폐지 | 1988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진안군 장수군·무주군 |
이후 선거구 | 진안군·무주군·장수군 |
의원 수 | 2인 |
2. 역사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진안군 선거구와 장수군·무주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진안·무주·장수 선거구는 1973년부터 1988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에서는 중선거구제가 시행되어 한 선거구에서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시행되었다. 이에 진안군·무주군·장수군 선거구는 관할 구역을 유지하면서 1인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 정보만 제시한다.
- 제9대 (1973년): 신민당 최성석, 무소속 김광수 당선.
- 제10대 (1978년): 민주공화당 김광수, 신민당 최성석 당선.
- 제11대 (1981년): 민주정의당 황인성, 민주한국당 오상현 당선.
- 제12대 (1985년): 민주정의당 전병우, 한국국민당 김광수 당선.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성석 | 신민당 | 29,654 | 32.19% |
김광수 | 무소속 | 24,891 | 27.02% |
전휴상 | 민주공화당 | 17,629 | 19.14% |
김봉관 | 무소속 | 16,177 | 17.56% |
김현모 | 무소속 | 3,752 | 4.07% |
합계 | 92,103 | ||
무효표 | 2,029 |
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광수 후보와 신민당 최성석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민주공화당 | 김광수 | 33,026 | 35.66 |
신민당 | 최성석 | 23,475 | 25.35 |
무소속 | 오상현 | 13,362 | 14.42 |
무소속 | 김덕규 | 7,446 | 8.04 |
무소속 | 이상옥 | 5,953 | 6.42 |
무소속 | 김봉관 | 4,605 | 4.97 |
무소속 | 허재송 | 2,496 | 2.69 |
무소속 | 이상옥 | 1,503 | 1.62 |
민주통일당 | 이복동 | 737 | 0.79 |
합계 | 92,603 | 100 | |
무효표 | 1,244 | - |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황인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오상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전병우 | 민주정의당 | 37,625표 | 43.30% | 당선 |
김광수 | 한국국민당 | 17,363표 | 19.98% | 당선 |
이상옥 | 신한민주당 | 16,745표 | 19.27% | |
오상현 | 민주한국당 | 15,144표 | 17.43% | |
합계 | 86,877표 | |||
무효표 | 1,554표 | |||
유권자 | 98,477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